전체 글14 쿨룽(Coulumb)의 법칙과 가우스(Gauss)의 법칙 쿨룽(Coulumb)의 법칙 대전이 되어있는 두 입자를 서로 가까이 가져가면 두 입자에 힘이 작용하는데, 같은 부호의 전하로 대전되었다면 서로 밀어내는 힘인 척력이 작용하며, 반대 부호의 전하로 대전되었다면 서로 끌어당기는 힘인 인력이 작용한다. 이렇게 전하에 따라 작용하는 인력 또는 척력을 정전기력이라고 부르고, 대전 입자의 힘에 대한 방정식을 쿨롱(Coulumb)의 법칙이라고 한다. 쿨롱의 법칙은 상호작용하는 전하의 특성에 의존하며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는 특징이 있다. 정전기학의 두 가지 구체 표면 정리는 균일하게 전하가 퍼져 있는 구체의 표면에서는 표면의 바깥에 대전된 입자가 존재할 경우 표변의 모든 전하가 중심에 집중돼 있는 것처럼 대전 입자를 끌어당기거나 밀어내고, 표면의 안쪽에 대전된 입자가.. 2022. 10. 2. 회로이론 - 회로의 종류와 연결 1. 퍼텐셜과 전류 저항기에 전류를 흐르게 하려면 저항기의 양 끝에 퍼텐셜 차이를 만들어야 한다. 한 가지 방법은 축전기를 저항에 연결하는 것인데, 이때 축전기의 전하가 순식간에 방전되면서 축전기 양 끝의 퍼텐셜이 같아지고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전하의 흐름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전하의 펌프 같은 것이 필요한데 이러한 장치를 기전력 장치라고 한다. 기전력 장치로는 전지, 발전기, 태양전지 등이 있다. 이러한 기전력 장치들의 기본 기능은 퍼텐셜 차를 유지하는 것이다. 기전력 장치 내부에서 양전하의 이동 방향은 두 극 사이에 걸린 전기장의 방향과 반대이다. 기전력이란 낮은 퍼텐셜에서 높은 퍼텐셜로 단위 전하를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일이고 단위는 볼트의 단위와 같다. 이상적인 기전력 장치는 내부 저항이 없어 .. 2022. 9. 30. 빛의 특징 - 반사와 굴절 1. 반사 빛의 특성을 연구하는 분야를 기하광학이라고 부르고, 빛의 진행 방향에 따라 두 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먼저 빛이 유리 표면에서 반사하여 일부는 본래의 빛이 표면에서 다시 나오는 것처럼 진행하고 나머지는 표면을 통과해서 유리 안으로 진행한다. 이렇게 빛이 통과해서 진행하는 것은 굴절이라고 부르며, 빛이 표면에 수직 하지 않는다면 굴절된 빛은 진행 방향을 바꾸며 휘어졌다고 할 수 있다. 이런 굴절은 표면에서만 일어나며 다른 물질로 통과된 이후에는 방향을 바꾸지 않으며 똑바로 진행한다. 진행 방향을 바꾸는 각도는 물질에 따라 다르며 이를 굴절률이라고 부른다. 굴절률은 Snell의 법칙이라고 부르며 빛의 속력을 매질 안에서의 속력으로 나눈 값이다. 진공에서의 굴절률은 1로 정의하고 공기도 1.000.. 2022. 9. 29. 자기장의 형성과 자기력 1. 자기장 자기장은 만드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는데 첫 번째는 전기적으로 대전된 입자들의 운동을 이용하는 것으로 전류를 이용하여 전자석을 만드는 것이고 두 번째 방법으로는 소립자들이 생성하는 것이다. 전자와 같은 소립자들은 고유의 자기장을 가지고 있고 물질의 기본 특성 중 하나이다. 어떤 물질에서 주변에 알짜 자기장을 만들 때 전자가 만드는 자기장을 더한 효과를 고려해야 하는데 이렇게 더해지는 자기장은 영구자석이 영구 자기장을 만들게 한다. 다른 물질의 경우는 전자의 자기장이 서로 상쇄되어 알짜 자기장을 만들지 못하고, 인체에 영구 자기장이 없는 이유도 이와 동일하게 전자의 자기장들이 서로 상쇄되어 없어지기 때문이다. 자기장은 자기장 내의 대전 입자가 움직일 때 작용하는 자기력을 이용하여 정의할 수 있.. 2022. 9. 28. 이전 1 2 3 4 다음